금융리스와 운용리스 차이점, 2025년 최신 정리

금융리스와 운용리스 차이점

자동차, 산업기계, 사무기기 등 고가 자산을 구입할 때 리스(lease)를 활용하면 초기 자금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리스는 크게 금융리스운용리스로 나뉘며, 계약 구조와 세금 처리, 소유권 이전 여부가 다릅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기준 금융리스와 운용리스의 차이점과 장단점을 비교해 보겠습니다.

1. 금융리스란?

금융리스(Finance Lease)는 리스 기간이 끝나면 해당 자산의 소유권이 리스 이용자(임차인)에게 이전되는 형태입니다. 사실상 ‘분할 구매’의 성격을 띠며, 계약 기간 동안 리스료에는 원금과 이자가 포함됩니다.

금융리스 특징

  • 계약 종료 시 소유권 이전
  • 리스 기간이 자산의 경제적 수명 대부분을 차지
  • 중도 해지 시 위약금 부담 큼
  • 리스료 전액이 자산가치 상환 + 이자로 구성

2. 운용리스란?

운용리스(Operating Lease)는 리스 회사가 자산을 소유한 상태로 임차인에게 대여하고, 계약 종료 후 자산을 반환하는 방식입니다. 장기 렌트와 유사하며, 계약 기간이 끝나면 자산을 구매할 수도 있지만 필수는 아닙니다.

운용리스 특징

  • 계약 종료 시 자산 반환
  • 리스 기간이 자산의 전체 수명보다 짧음
  • 보험료, 세금, 유지보수 비용 포함 가능
  • 리스료 전액을 비용 처리 가능

3. 금융리스와 운용리스 차이점

구분 금융리스 운용리스
소유권 계약 종료 후 임차인에게 이전 리스 회사 유지(반환 가능)
회계 처리 자산과 부채로 인식 임대료로 비용 처리
리스 기간 자산 경제적 수명의 대부분 자산 수명보다 짧음
유지보수 임차인 부담 리스사 부담 가능
중도해지 어려움, 위약금 큼 비교적 용이

4. 세금 및 회계 처리 차이

  • 금융리스: 자산 취득으로 간주되어 감가상각 가능, 부채로 인식
  • 운용리스: 임대료 전액을 비용으로 처리 가능, 재무제표 부채에 반영되지 않음

5. 선택 시 고려사항

금융리스는 자산을 최종적으로 소유하고 싶은 경우 적합하며, 운용리스는 단기간 사용하거나 유지보수 부담을 줄이고 싶은 경우 유리합니다. 세금, 회계처리, 현금흐름에 미치는 영향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6. 예시

예를 들어, 5년 이상 사용할 설비나 차량을 구매하려면 금융리스가 적합합니다. 반면, 2~3년 후 반납하거나 교체할 계획이라면 운용리스가 비용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습니다.


금융리스와 운용리스 차이는 소유권 이전 여부, 회계 처리, 리스 기간, 유지보수 주체에서 나타납니다. 장기 보유를 원하면 금융리스를, 유연성을 원하면 운용리스를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