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여세 면제 한도액 변경 최신개정 총정리

증여세 면제 한도액 변경 최신개정 총정리

최신 개정 요약(2025년 8월 기준) — 일반적인 증여세 증여재산공제 한도(일명 면제 한도)는 10년 합산 기준으로 배우자 6억, 성인 자녀 5천만, 미성년 자녀 2천만, 기타 친족 1천만 원으로 유지되고 있습니다. 다만, 2024년부터 혼인·출산 증여재산공제가 신설되어 직계존속(부모·조부모 등)으로부터 혼인·출산 시기에 맞춰 증여받으면 기본공제와 별도로 최대 1억 원을 추가로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혼인 공제와 출산 공제는 합산 1억 원 한도)

1. 증여세 기본 구조 이해하기

증여세는 타인에게 무상으로 받은 재산가액에서 증여재산공제(관계별 한도)와 필요 공제를 뺀 뒤, 남는 과세표준에 세율을 적용해 계산합니다. 공제는 수증자(받는 사람) 기준으로 과거 10년간 같은 그룹(배우자, 직계존속, 직계비속, 기타 친족)에서 이미 공제받은 금액과 합산해 관리합니다.

2. 기본공제(면제 한도) – 최신 기준

  • 배우자: 10년 합산 6억 원
  • 직계존속 → 성인(만 19세 이상) 자녀: 10년 합산 5천만 원
  • 직계존속 → 미성년 자녀: 10년 합산 2천만 원
  • 기타 친족(6촌 혈족·4촌 인척): 10년 합산 1천만 원

포인트 — ‘10년 합산’은 부모·조부모 등 직계존속 그룹 전체에서 받은 금액을 묶어 계산합니다. 예를 들어 어머니와 아버지로부터 각각 3천만 원씩 받은 경우, 직계존속 그룹 합계 6천만 원으로 보아 초과 1천만 원이 과세대상이 됩니다.

3. 혼인·출산 증여재산공제(추가 공제) – 2024년 신설

혼인 시 혼인신고일 전후 2년 이내 증여, 또는 출생·입양 후 2년 이내 증여에 대해, 직계존속으로부터 받는 재산은 기본공제와 별도로 최대 1억 원까지 추가로 공제됩니다. 혼인 공제와 출산 공제는 합산 한도 1억 원이며, 조문에 10년 합산 규정이 없어 기본공제(10년 합산)와 성격이 다릅니다.

적용 요건 한눈에

  • 증여자: 직계존속(부모·조부모 등)
  • 시기: 혼인신고일 전후 2년 / 출생(입양)일로부터 2년 이내
  • 공제액: 혼인·출산 합산 최대 1억 원(기본공제와 별도)
  • 제외: 특정 유형의 증여(예: 일부 특수 규정 대상)는 적용 제외

4. 헷갈리기 쉬운 오해 바로잡기

  • “배우자 증여 10억 면제?” — 최신 법령 기준 증여세의 배우자 공제는 6억 원입니다. 최근 상향 논의나 상속세(배우자공제) 이슈와 혼동하지 마세요.
  • “혼인·출산 공제도 10년 합산인가?” — 혼인·출산 공제는 별도 규정으로, 혼인+출산 합산 1억 한도를 넘지 않도록 관리합니다(기본공제 10년 합산과 다름).
  • “부모 각각 1억씩 추가로?” — 수증자(받는 자) 기준 합산 1억입니다. 증여자를 나눠도 합산 한도 1억을 넘길 수 없습니다.

5. 실전 계산 예시

예시 A: 결혼 앞둔 성인 자녀 지원

혼인신고일 기준 전후 2년 기간에 부모가 자녀에게 1억 5천만 원 증여.
적용 공제: 기본공제 5천만 원 + 혼인공제 1억 원 = 총 1억 5천만 원 → 과세표준 0, 납부세액 0원.
주의: 이후 10년 이내 직계존속으로부터 추가 증여 시 기본공제는 이미 5천만 원을 사용했으므로 남은 한도 0으로 계산됩니다(혼인공제는 합산 1억 소진).

예시 B: 미성년 손주 돌잔치 자금

출생 후 2년 내 조부모가 손주에게 6천만 원 증여.
적용 공제: 미성년 기본공제 2천만 원 + 출산공제 1억(한도 내)6천만 원 전액 공제.
주의: 혼인·출산 공제 합산 1억 한도 중 6천만 원 사용, 이후 혼인공제 등으로 더 받더라도 남은 추가 공제는 4천만 원입니다.

6. 신고·절차 팁

  • 신고기한: 증여가 이루어진 달의 말일부터 3개월 이내 홈택스 또는 관할 세무서에 신고
  • 전자신고 경로: 홈택스 → 신고/납부 → 세금신고 → 증여세
  • 신고 혜택: 기한 내 신고 시 신고세액공제(3%) 규정이 있으며, 납부세액이 없더라도 신고 자체를 권장합니다.

7. 빠르게 보는 체크리스트

  • 배우자 6억 / 성인 자녀 5천만 / 미성년 2천만 / 기타 친족 1천만(모두 10년 합산)
  • 혼인·출산 추가 공제는 별도 합산 1억(혼인+출산 묶어 계산)
  • 그룹 합산 관리(부모·조부모 등 직계존속 전체를 묶어 계산)
  • 증여 시점·금액 분산으로 10년 주기 전략 수립
  • 증빙 및 신고기한 철저히 관리


한 줄 정리 — “기본공제 10년 합산(배우자 6억 등) + 혼인·출산 별도 1억” 구조로 이해하면, 최신 규정을 가장 쉽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 이전